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청년정책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가입 방법 (2025년 최신 업데이트)

by wonvalue 2025. 3. 18.

2025년에도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돕는 핵심 정책 중 하나입니다.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제공하여 5년 뒤 최대 5,000만 원까지 만들 수 있는 제도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청년도약계좌의 조건, 혜택, 신청 방법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가입 방법 (2025년 최신 업데이트)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 지원금을 제공하는 금융상품입니다.

 

5년 동안 꾸준히 저축하면 최대 5,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어 많은 청년들이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주요 특징

  • 매월 납입 금액: 최대 70만 원
  • 정부 지원금 포함 시 5년 후 최대 금액: 약 5,000만 원
  • 이자 소득 비과세 혜택 제공
  • 자유적립식 저축 가능 (매월 납입 금액 조정 가능)
  • 이자지급방식: 만기일시지급식(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 다음 링크를 통해 각 은행별 청년도약계좌금리를 조회해보실 수 있으니, 어디가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지 알아보세요!

청년도약계좌금리 조회

 

2.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일정한 연령과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가입 대상

  • 19~34세 대한민국 청년 (병역이행기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
  • 전 과세기간 총 급여액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인 경우  (개인)
  •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 (소득 수준에 따라 정부 지원금 차등 지급)

참고 : ‘23년 기준 중위소득 250% (출처: 서민금융진흥원)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250%(연)
1인 가구
62,336,760
2인 가구
103,684,650
3인 가구
133,044,480
4인 가구
162,028,920
5인 가구
189,920,640
6인 가구
216,839,430
7인 가구
243,225,450

 

소득 기준별 지원금 차등 지급

  •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 월 최대 정부기여금 33,000원
  • 연소득 2,400만~3,600만 원 → 월 최대 정부기여금 29,000원
  • 연소득 3,600만~4,800만 원 → 월 최대 정부기여금 25,200원
  • 연소득 4,800만~6,000만 원  월 최대 정부기여금 21,000원

 

3. 청년도약계좌 혜택 및 이점

높은 정부 지원금 정부에서 저축액에 비례하여 추가 지원금을 제공하여 실질적인 자산 형성이 가능합니다.

비과세 혜택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을 면제받아 수익률이 더욱 높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유적립식 저축 가능 경제 상황에 맞게 저축 금액을 유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 2년 이상, 800만원 이상 납입 시 최소 5~10점 부여(KCB, NICE 기준)(2025년)

 

 

4.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신청 기간

  • 2025년 1월부터 연중 상시 신청 가능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가능성이 있으니 서둘러 신청하는 게 좋습니다.)

 

신청 방법

  1. 은행 방문 또는 모바일 앱 접속, 가입신청
    •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에서 신청 가능
    •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경남은행
  2. 소득 및 가구소득 기준 확인 : 가입요건 확인(가입신청 마지막일로부터 2주 소요) →가입 가능여부 안내
    • 국세청 소득 증빙 자료 제출 필요
  3. 계좌 개설 및 첫 납입 진행
    • 은행 상담 후 계좌 개설 및 자동이체 설정

👉 청년도약계좌 신청하기

 

 

5. 청년도약계좌 활용 꿀팁

 

가능한 한 최대 금액 납입하기

  • 정부 지원금이 비례하여 지급되므로, 여유가 된다면 매월 70만 원 최대 한도로 납입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

이자율이 높은 은행 선택하기

  • 은행별로 제공하는 금리가 다르므로 가입 전 비교하여 이자율이 높은 곳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년 유지가 어렵다면 신중하게 가입

  •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없으므로,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지 신중하게 판단 후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자주 묻는 질문 (FAQ)

소득이 높아지면 지원금이 줄어드나요?

✅ 네, 소득이 증가하면 지원금이 줄어들거나 중단될 수 있습니다. 다만, 기존에 납입한 금액은 유지됩니다.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없으며, 단순 저축 계좌로 전환됩니다.

 

계좌 개설 후 얼마까지 납입할 수 있나요?

✅ 최대 월 70만 원까지 납입 가능하며, 자유롭게 납입 금액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은 다음 링크를 통해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 지금 바로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고 미래를 준비하세요!